2025년 테슬라 모델 Y(Tesla Model Y)는 한국 시장에서 전기 SUV 세그먼트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고 있으며, 다양한 트림과 정부 보조금을 활용한 가격 경쟁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
모델 Y는 리어휠드라이브(RWD), 롱 레인지 AWD, 퍼포먼스 AWD 트림으로 제공되며, 2025년형은 주로 기존 모델의 연식 변경과 Juniper 리프레시 모델(2026년형으로 분류되기도 함)로 나뉩니다.
아래는 한국 시장에서의 2025년 테슬라 모델 Y 가격, 사양, 제원(길이, 무게)을 중심으로 상세히 정리한 내용입니다.
정보는 테슬라 공식 웹사이트, 웹 자료 그리고 한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정책을 기반으로 하며, 일부 추정치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.
1. 테슬라 모델 Y 트림별 가격 및 사양
테슬라 모델 Y는 한국 시장에서 세 가지 주요 트림으로 판매되며, 정부 보조금(국고 및 지자체)과 할인 정책에 따라 실구매가가 달라집니다.
2025년 한국 전기차 보조금은 차량 가격 5,500만 원 이하 시 최대 100% 보조금(최대 514만 원), 5,500만~8,500만 원은 최대 50% 보조금 적용됩니다.
서울 기준 지자체 보조금은 최대 350만 원입니다.
1.1. 모델 Y RWD (Rear-Wheel Drive)
- 가격:
- 기본 가격: 5,499만 원 (2024년 2월 2백만 원 가격 인하 후)
- 보조금 적용 후:
- 국고 보조금: 약 140만~270만 원 (배터리 밀도, 재활용성 등으로 100% 보조금 미적용)
- 서울 지자체 보조금: 약 350만 원
- 실구매가: 약 4,879만~5,009만 원 (지자체 보조금 포함)
- 특이사항: 2023년 중국산 LFP 배터리 모델 도입으로 가격을 5,699만 원으로 낮춰 보조금 기준 충족, 2024년 91.6% 판매 증가(13,885대)
- 사양:
- 파워트레인: 단일 전기모터, 299마력, 400Nm 토크.
- 주행거리: WLTP 500km (국내 인증 약 450km).
- 0-100km/h: 5.6초, 최고속도 217km/h.
- 충전: 최대 250kW 급속 충전, 10~80%, 충전 25~30분.
- 기타: 19인치 제미니 휠, 오토파일럿 기본 제공, V2L 미지원.
- 제원:
- 길이: 4,751mm
- 무게: 약 1,909kg
- 특징: 가장 저렴한 트림으로 가격 경쟁력 강점. LFP 배터리(리튬인산철)로 안전성과 수명 우수, 에너지 밀도는 낮음.
1.2. 모델 Y 롱 레인지 AWD (Long Range All-Wheel Drive)
- 가격:
- 기본 가격: 7,874만 원 (2023년 기준, 2025년 약 7,500만 원 내외로 조정 가능)
- 보조금 적용 후:
- 국고 보조금: 약 70만~135만 원 (가격 상한으로 50% 보조금 적용).
- 서울 지자체 보조금: 약 350만 원.
- 실구매가: 약 7,015만~7,080만 원 (지자체 보조금 포함, 추정).
- 특이사항: 2025년 Juniper 리프레시 모델은 7,499만 원(세제 혜택 전)으로 책정, 750만 원 세제 혜택 적용 시 6,749만 원.
- 사양:
- 파워트레인: 듀얼 전기모터, 441마력, 510Nm 토크.
- 주행거리: WLTP 533km (국내 인증 약 480km).
- 0-100km/h: 4.6초, 최고속도 217km/h.
- 충전: 최대 250kW 급속 충전, 10~80%, 충전 25~30분.
- 기타: 20인치 인덕션 휠, 풀 셀프 드라이빙(FSD) 옵션(800만 원), 2열 전동 폴딩 시트, 후석 디스플레이.
- 제원:
- 길이: 4,751mm
- 무게: 약 2,003kg
- 특징: Juniper 리프레시(2025년형)는 사이버트럭 스타일의 전면 라이트바, 개선된 서스펜션, 소음 저감, 향상된 실내 소재 적용.
1.3. 모델 Y 퍼포먼스 AWD (Performance All-Wheel Drive)
- 가격:
- 기본 가격: 8,269만 원 (2023년 13% 인하 후, 2025년 약 7,800만 원 내외로 조정 가능)
- 보조금 적용 후:
- 국고 보조금: 약 70만~135만 원 (가격 상한으로 50% 보조금 적용).
- 서울 지자체 보조금: 약 350만 원.
- 실구매가: 약 7,315만~7,380만 원 (지자체 보조금 포함, 추정).
- 특이사항: 2025년 3월 재고 소진을 위해 최대 1,000만 원 할인(4,400만 원대), Juniper 모델은 7,999만 원(세제 혜택 전).
- 사양:
- 파워트레인: 듀얼 전기모터, 527마력, 660Nm 토크.
- 주행거리: WLTP 514km (국내 인증 약 460km).
- 0-100km/h: 3.5초, 최고속도 250km/h.
- 충전: 최대 250kW 급속 충전, 10~80%, 충전 25~30분.
- 기타: 21인치 우버터빈 휠, 퍼포먼스 브레이크, 낮은 서스펜션, FSD 옵션.
- 제원:
- 길이: 4,751mm
- 무게: 약 2,072kg
- 특징: 고성능 중심, 주행거리 약간 감소. Juniper 모델은 핸들링과 승차감 개선.
2. 2025년형 모델 Y (Juniper 리프레시) 특징
- 출시 시기: 2025년 3월 (한국 배송 시작)
- 업데이트:
- 외관: 사이버트럭/로보택시 스타일의 전면 풀-위드 라이트바, 공기역학 개선(주행거리 +20마일, 약 32km).
- 내관: 15인치 중앙 터치스크린, 8인치 후석 디스플레이, 통풍 시트, 고급 소재, 소음 저감재 추가.
- 성능: 더 단단한 차체, 개선된 서스펜션으로 승차감과 핸들링 향상.
- 기타: 전동 폴딩 후석, 전동 트렁크, 2,138L 적재 공간(프렁크 포함, 기존 대비 20L 감소).
- 판매 동향: 2025년 2월 2,038대 판매(수입차 1위), Juniper 도입으로 2분기 판매 증가 전망.
- 문제점: 한국 내 옵션 제한(예: 7인승 미제공, FSD 활성화 지연), 배송 지연에 대한 소비자 불만.
3. 추가 비용 및 옵션
- 외장 색상:
- 기본: 펄 화이트 멀티코트 (무료).
- 추가: 울트라 레드, 스텔스 그레이, 퀵실버 등 (각 200만~260만 원).
- 휠: 19인치 기본, 20인치(150만 원), 21인치(450만 원).
- 인테리어: 블랙(기본), 화이트(130만 원).
- FSD(Full Self-Driving): 800만 원, 한국 내 레벨 3 자율주행 미지원.
- 토우 히치: 130만 원 (롱 레인지 및 퍼포먼스 트림).
- 7인승 옵션: 한국 미제공, 북미 기준 250만 원.
4. 보조금 및 경제성
- 정부 보조금:
- RWD: 5,500만 원 이하로 최대 270만 원 수령 가능, 지역별 추가 보조금(서울 350만 원, 제주 800만 원 등).
- 롱 레인지 및 퍼포먼스: 가격 상한으로 50% 보조금(최대 135만 원).
- 한계: 배터리 밀도 및 V2L 미지원으로 보조금 감액.
- 유지비: 전기 충전비 약 km당 6~8원(가정용+슈퍼차저), 2만 마일(3.2만 km) 주행 시 유지비 약 14센트/마일(약 24원/km).
- 슈퍼차저 네트워크: 2025년 1분기 기준 전 세계 7,131개소, 한국 내 약 50개소, 신뢰성과 비용 효율성 강점.
5. 시장 포지셔닝 및 경쟁
- 경쟁 모델: 현대 아이오닉 5(5,000만~6,500만 원), 기아 EV6(5,000만~6,500만 원), 포드 머스탱 마하-E(5,500만~7,000만 원).
- 강점: 긴 주행거리(최대 533km), 빠른 충전(250kW), 슈퍼차저 네트워크, OTA 업데이트, 높은 안전성(IIHS Top Safety Pick+, NHTSA 5성).
- 약점: 한국 내 FSD 미활성화, 터치스크린 중심 인터페이스의 학습 곡선, 조립 품질 불균일(일부 트림 정합성 문제).
6. 소비자 반응 및 판매 실적
- 판매 실적:
- 소비자 반응:
- X 게시물 반응: 모델 Y RWD의 5,299만 원 가격이 “가격 대비 상품성 최상급”이라는 평가, 재고 부족으로 즉시 구매 어려움.
7. 결론
2025년 테슬라 모델 Y는 한국 시장에서 RWD(5,499만 원, 보조금 후 4,879만~5,009만 원), 롱 레인지 AWD(7,500만 원 내외, 보조금 후 6,749만 원 내외), 퍼포먼스 AWD(7,800만 원 내외, 보조금 후 7,315만 원 내외)로 제공됩니다. 모든 트림의 길이는 4,751mm, 무게는 1,909~2,072kg입니다.
Juniper 리프레시는 외관, 승차감, 실내 품질을 개선하며, 긴 주행거리와 슈퍼차저 네트워크로 경쟁력을 유지합니다.
그러나 옵션 제한과 배송 지연은 개선 과제입니다. 정확한 가격 및 사양은 테슬라
공식 웹사이트(www.tesla.com/ko_kr)에서 확인하세요. 추가 질문이 있으시면 말씀해 주세요)

